ADsP -> SQLD -> DAsP
드디어 3종 자격증에서 마지막으로 DAsP 자격 검정만 남았다.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준전문가'......'준전문가'.......'준전문가'......
뭔가 진짜 '준' 전문가 일 것 같은 이 초라한 느낌은 뭐지....?( 나만 그렇게 느끼는 건가? )
3종 자격증 중에 가장 초라해 보이는 느낌을 가진다.
실제 DBA로 진입하기도 쉽지 않고.... 수요가 많은 직종은 아니기에....
하지만 그래도 DBA라 하면 뭔가 대단해 보이는 느낌 아닌 느낌이랄까
어쨋던 간에 모델링의 중요성을 이해 한다면 다시 한번 이 자격증에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한다.
실제로 자격 공부를 하면서 좋았던 점을 세 가지 얘기하자면
정보처리기사의 데이터베이스 과목으로 부족한 깊이 있는 학습
IT분야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벗어난 거시적인 관점의 시야 확보
적당한 난이도와 비갱신형 자격 시험(SQLD는 유효기간이 있다....ㅜㅜ)
이제 일주일에 한번씩 가는 부산이 낯설지가 않다....
센텀시티 디자인센터 시험고사장 -_
(feat. 왠지 모르지만 갈 때마다 태풍인가 싶은 바람이 날 맞이해주었다. 덤으로 깐 이마 민망 mode)
늦지 않은 시간에 도착해 세번째 방문인 시험고사장에서 평소 찍지도 않던 인증 사진 한번 찍어주고....
사실 3종 자격 공부 중 개인적으로 제일 재미를 느낀 자격증이였다.
왜냐면 이런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체계화 시킨 사람들이 존경스러웠기 때문이다.
DBA에 대한 직업적 갈망도 느낄 수 있었고.....
이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세스에 의해 일이 실제로 진행되기 쉽지 않지만....
(이렇게 일이 딱 딱 진행된다면 정말로.... 일사천리하게 진행되겠지....)
항상 이런 프레임 들을 의미 있게 각인 해놔야 된다 생각되었다.
이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내면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할까나....
(단순히 구현에만 초점을 두는게 아닌... 체계화, 세분화 적인 개념과 지식은 중요해 보인다.)
왠일로 요점 정리 프린트물에 줄도 긋고 필기도 하면서 공부에 재미를 느낀 것 같다.
( 그래봤자 5일 공부한건 안 비밀.... )
그래도 실전 문제집은 2번이나 풀었다. ㅋㅋ
거의 대부분의 지식은 암기가 아닌 이해를 하려고 노력했으며 스며드는 느낌으로다가 흡수가 잘 되었던 것 같다.
시험지를 받고 처음 문제들을 스캔 했을때... 굉장히 자신감에 넘쳤었는데...
(왜인지 모르겠지만 시험 문제들을 많이 맞출 자신감이 뿜뿜 했다.)
그 자신감에 비해 합격 점수는 꽤나 초라한 것 같다.
(시험장을 나올때 마저도 점수가 80점 정도 나올 것 같았다. 무슨 근자감이지?)
그래도 결과는
Success~!~!!!
정말 아슬아슬하게 합격했다....
꽤나 흡수가 잘 되었던 자격증이였고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다고 느꼇던 자격시험이지만...(쉽다고 말할 점수는 아닌 것 같다 ㅋㅋ)
은근히 암기해야 할 부분도 많이 있다.
이 자격증은 왠지 모르게 '준' 전문가를 넘어서 '전문가' 자격시험에 응시해보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내가 부산에서 시험에 응시할 땐 두명만 '전문가' 자격시험을 치더라.... -_- )
나중에 기회가 생긴다면 전문가 자격시험을 준비해보는 걸로.....
개인 평 : 흡수가 잘 되는 지식. 그리고 설계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한번 쯤 공부해보기 좋은 자격 시험.
단점 : 응시료 비쌈. 앞서 말했듯이... 낮은 인지도가 가장 문제....
어디서도 알아주지 않는 자격 '우대'... (면접관들이 이 자격증에 대해 잘 모른다 -_-)
DBA로 한정된.... 자격증 활용폭....
이제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이 남았다.
6월 30일..... 얼마 안 남은 기간이니 남은 에너지를 모두 쏟아붙....으어... ㅜㅜ
'노력의 흔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후기 feat.암기기사 (2) | 2018.08.11 |
---|---|
SQLD (SQL Developer) / SQL 개발자 자격 검정 후기 feat.벼락치기 (0) | 2018.08.11 |
ADsP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 자격 검정 후기 feat.프롤로그 (0) | 2018.08.11 |